“우리 아이 공부 못하는 진짜 이유있었네”…청소년 5명 중 1명 ‘이것 ’ 중독
청소년 5명 중 1명정도가 인터넷·스마트폰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과의존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여성가족부가 낸 ‘2025년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123만4587명 중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분류된 청소년은 21만3243명(17.2%)으로 조사됐다.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은 지난해 22만1029명에서 7786명 줄었다.
다만, 위험군 감소에는 전년 조사(124만9317명) 때보다 조사 참여자가 1만4730명 감소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과의존 위험군은 위험사용자군과 주의사용자군을 합한 것이다.
위험사용자군은 일상생활에서 집착, 불안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전문기관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이다.
주의사용자군은 사용 시간이 늘어나 자기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주의가 필요한 수준을 말한다.
과의존 위험군 중 인터넷과 스마트폰 두 가지 문제를 모두 가진 중복위험군은 7만8943명(37.0%)이었다. 지난해 8만1190명보다 2247명 감소했다.
과위험 의존군은 중학생(8만5487명), 고등학생(7만527명), 초등학생(5만7229명) 순으로 많았다.
지난해보다 초등생은 852명, 중학생은 4325명, 고등학생은 2609명이 각각 줄어 중학생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성별로는 남자 청소년이 11만6414명, 여성 9만6829명이었다.
여가부는 미디어 과의존 위험에 노출된 청소년에 대해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 청소년상담기관과 연계한 상담, 병원 치료, 치유프로그램, 부모 교육 등 맞춤형 치유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집중 치유가 필요한 청소년은 미디어 사용이 제한된 환경에서 전문 상담과 다양한 대안 활동 등을 제공하는 기숙형 치유캠프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올해는 미디어 과의존 청소년의 저연령화에 대응해 초등생 대상 가족 치유프로그램을 확대하고, 9월에는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에서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기숙형치유캠프를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출처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