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은 못쓰게 하면서 교수는 사용?" 美대학에 챗GPT 논쟁

미국 대학에서 교수가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해 강의노트를 만든 사실이 드러나 학생이 해당과목에 대해 등록금을 반환해달라고 요구하는 일이 벌어졌다. 그도 그럴 것이 교수와 대학은 학생들에게 챗GPT 사용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학생들에게는 챗GPT를 못쓰게 하면서 교수들은 어떻게 쓸 수 있냐'는 항변이 가능한 것이다.

14일(현지시간) NYT에 따르면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강의를 맡은 교수가 생성형 챗GPT로 강의노트를 작성하고 제대로 검토하지도 않은 사실이 한 학생에 의해 발견됐다. 이 학생은 대학 당국에 등록금 환불을 요구했다.

이 대학 4학년생 엘라 스테이플턴은 담당 교수가 학교 시스템에 올려놓은 조직행동론 수업 강의노트로 복습을 하다가 이상한 내용을 발견했다. 강의노트 중간쯤에 "모든 분야에서 확장해. 보다 세부적이고 구체적으로 써" 등 챗GPT에 내린 지시로 추정되는 부분이 들어 있었다. 충격을 받은 스테이플턴은 이 과목을 맡은 릭 애로우드 겸임교수가 만든 슬라이드 등 다른 강의자료를 뒤져봤다.


그 결과 텍스트와 사람들 사진에 나타난 왜곡과 황당한 오탈자 등 생성형 AI를 쓸 경우 전형적으로 자주 나타나는 오류들을 발견했다. 이 과목의 강의계획서에는 과제물 작성이나 시험 답안 작성에 무단으로 AI나 챗봇을 이용하는 것은 금지된 부정행위라고 돼 있었다.

스테이플턴은 "교수가 우리한테는 못 쓰게 하면서 정작 본인은 쓰고 있다"며 분개하면서 자신이 낸 학기 등록금 중 해당 과목 몫인 8천 달러(1천130만원)를 환불하라며 경영학부를 상대로 공식 민원을 제기했다. 그는 민원 제기 후 경영학부 관계자들과 몇 차례 면담을 했으나, 5월에 졸업식이 열린 바로 다음날 등록금 환불은 불가하다는 답변을 들었다.

NYT는 이 과목 수업을 맡았던 릭 애로우드 겸임교수가 이번 사건에 대해 후회하고 있다고 전했다. 20년 가까이 강사 생활을 해 온 그는 기존의 교안, 강의노트, 강의자료 등을 챗GPT와 AI 검색엔진 '퍼플렉시티' 그리고 프리젠테이션을 만들어주는 AI 서비스 '감마' 등에 올려 만들었다. 그는 "돌이켜 생각하니, 좀 더 꼼꼼하게 살펴봤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며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학교 시스템에 자료를 올리긴 했지만, 강의가 토론 위주로 진행되므로 수업 시간에는 사용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노스웨스턴대는 이번 사건이 발생한 후 3월말 공식적인 AI 사용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AI 사용시 반드시 사용 사실을 밝혀야 하며, 결과물에 대해 정확성과 적합성 검토를 해야 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NYT는 미국 대학생들이 즐겨 쓰는 강의평가 사이트에 담당 강사가 AI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불만이 자주 올라온다고 전했다. 이런 불만을 내놓는 대학생들은 '교수는 써도 학생은 못 써'라는 식의 '위선'을 지적하면서 "우리가 거액의 돈(등록금)을 내는 것은 사람의 가르침을 받기 위한 것이지, 우리도 공짜로 물어볼 수 있는 알고리즘의 가르침을 받으려는 것이 아니다"라는 취지의 주장을 편다고 NYT는 전했다.


교수들이나 강사들 중 상당수는 AI를 수업 준비에 이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고 이를 통해 시간을 절약해 교육을 더욱 충실히 할 수 있다는 의견을 NYT에 밝혔다. 이들은 단조롭고 기계적인 업무 부담이나 학생들의 초보적 의문을 해소해주는 데에 들이는 시간을 줄이고, 학생 면담 등에 시간을 더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 : 디지털타임즈

Previous
Previous

美, 대학 등록금 부담 1% 낮추면 GDP 1.4% 상승

Next
Next

미국 대통령, 학교에서 인공지능 교육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