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명문 대학들, 정부 압박 공동 대응 위한 단체 결성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척결 등을 명분으로 재정지원 중단을 압박하는 가운데 미국 내 명문 대학들이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비공개 단체를 결성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지 시각 28일, 아이비리그 소속 명문대를 비롯해 주요 사립 연구대학 등 약 10개 대학의 총장이나 이사진 등 최고위 인사들이 최근 서로 긴밀한 연락을 유지하며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한 다양한 요구에 어떻게 대응하고 저항할지 논의해 왔다고 보도했습니다.
신문은 해당 비공식 단체가 아이비 리그 대학과 주요 사립 연구 대학을 포함해 약 10개 대학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부분 민주당 주에 속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 대학의 광범위한 문화적 변화를 요구한 것을 많은 대학들이 독립성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했다며, 정부의 압박을 수용한 선례를 따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비공개 단체의 목표라고 전했습니다.
정부 테스크 포스에 정통한 소식통은 "트럼프 행정부가 학교들이 저항에 힘을 합칠까 봐 우려해 왔다"면서 "지난 두 달 동안 정부 테스크 포스는 최소 한 학교의 지도부에 태스크포스의 요구에 맞서 다른 학교와 협력하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말했습니다.
신문은 논의에 참여한 대학 지도자들이 정부에 학교 운영권의 독립성을 넘겨줄 계획은 없지만 백악관이 승리한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표면적 변화는 수용할 의사가 있음을 내비쳤다고 전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에 보낸 요구목록이 정부의 지나친 월권행위로 인식됐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트럼프 정부는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근절 등을 이유로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를 비롯해 입학정책과 교수진 채용에 정부가 감시할 수 있는 권한을 대학 측에 요구했습니다.
하버드대는 이 같은 요구가 학문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수용을 거부했고, 트럼프 행정부가 수조 원대의 지원금 중단 등의 조치에 나서자 이를 멈춰달라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출처 : KBS뉴스